[online][인문사회] 의 견충돌시 극복하는 방법 이상심리학 / 이상심리학 담당교수 조 옥 귀 1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3-30 19:16
본문
Download : 의견충돌시 극복하는방법 - 이상심리학.hwp
또한 부부간에 부부 만족도를 검사했다고 하자. 많은 쌍을 대상으로 했을 때, 중간정도의 만족도를 나타내는 쌍들이 가장 많을 것이다. 부부간에 보통 지지고 볶고 그렇게 사니까 그런 부부가 정상이라고는 할 수 있지만 높은 만족감을 가지고 산다고 대답한 부...
다. 자기 자신이 이상행동을 한 적이 없고 감정, 사고, 행동 면에서 이상하다고 느낀 적이 한번도 없는 사람이 있는가 있다면 그 사람은 틀림없이 “이상”한 사람일 것이다.
이상심리학 담당교수 조 옥 귀 1 장 이상행동의 이해 1. 이상행동의 ...
설명
순서
이상심리학 담당교수 조 옥 귀 1 장 이상행동의 이해 1. 이상행동의 ...
Download : 의견충돌시 극복하는방법 - 이상심리학.hwp( 35 )





인문사회 의 견충돌시 극복하는 방법 이상심리학 / 이상심리학 담당교수 조 옥 귀 1
[인문사회] 의 견충돌시 극복하는 방법 이상심리학 / 이상심리학 담당교수 조 옥 귀 1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이상심리학 담당교수 조 옥 귀 1 장 이상행동의 이해 . 이상행동의 정의(定義) 어느 한 사람의 행동을 관찰하거나 심리상태를 추정해 볼 때 단정적으로 이상이냐, 정상이냐로 판별하는 것은 그렇게 쉬운 일이 아니다. 앞으로 살펴볼 여러 가지 기준에 의해 정상과 이상을 구분하기는 하지만 이것은 절대적인 것이 아니어서, 누구는 완전히 정상, 누구는 완전히 이상이라고 말할 수는 없다. 이는 가장 흔하고 쉽게 이상을 정의(定義)할 수 있는 것으로써 어떤 사람이 보이는 행동이 이상인가를 결정하기 위해 사람이 속한 사회나 文化 속에서 드물고 신기한 행동인지를 보는 것이다. 그러나 이 기준에 함정이 있음을 기억해야 한다. 그러면 어떤 기준으로 정신건강 전문가들이 정상, 이상을 판별하는지를 살펴보자. (1) mean or average(평균) 에서의 일탈 통계적 정의(定義)로 볼 때 mean or average(평균) 에서 일탈되는 것이 이상이고 mean or average(평균) 에 속하는 것이 정상이라고 보는 것이다. 보기 드문 행동이라도 정상일 수 있기 때문일것이다 예를 들어, IQ 145가 넘는 사람은 매우 드물지만 그것이 이상한 것도 병리적인 것도 아니다. 자신에 대한 통찰력이 없기 때문에 이상으로 분류된 사람도 정상적인 면이 조금도 없다고는 말하기 어렵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