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합운송트레인과 우리의 대응대책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3-30 14:35
본문
Download : 복합운송인블록트레인과우리.hwp
우리나라의 운송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철도를 이용한 육상운송부문의 육성도 필요하므로 국내 철도화물운송과 대륙횡단철도를 연계시켜 운행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대륙횡단철도는 극동아시아에서 유럽을 연결시키는 육상운송노선으로서 현재의 해상운송노선에 대한 대안으로 그 중요성이 인식되고 있다. 다음에서는 철도의 운행으로 나타난 블록트레인이란 무엇이며 그에 따르는 회사들의 예와 우리의 발전방향에 대하여 알아보기로 하자.
(2) 궤도 교환
2. 교통개발연구원, 『글로벌 물류중심대책 연구』, 2003.
복합운송트레인 블록트레인 대륙행단철도 / 1. 건설교통부 외, 『러시아철도 현황 (TSR 실태조사결과를 중심으로)』, 2001. 6. 2. 교통개발연구원, 『글로벌 물류중심방안 연구』, 2003. 3. 『범아시아 철도망의 발전전망과 우리 나라의 활용방안 연구』, 1998. 4. 『남북한간 인적.물적 수송의 활성화를 위한 교통부문의 법적.제도적 정비방안』, 2001. 5. 대한교통학회/한국철도학회, 『국제철도시대에 대비한 대응전략 개발연구』, 2002. 6. 『시베리아횡단철도(TSR)의 현황 및 한반도연결에 따른 파급효과』, 교통개발연구원, 2002. 7. 이재욱 외, 『한.중간 열차페리사업에 관한 고찰』, 제7회 국제물류연구회 발표자료, 2002. 8. 이호영, 『새로운 국제철도수송체계 -Block Train-』, 세미나 발표자료, 2002. 9. 교통개발연구원 (http://www.koti.re.kr/) 10. 한국철도기술연구원 (http://www.krri.re.kr) (운송 물류)
5. 대륙횡단철도 연계운영 전략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4) 블록트레인의 구성
본론
<題目차례(次例)>
(4) 공컨테이너 회수
(3) Eurogate International
Download : 복합운송인블록트레인과우리.hwp( 28 )
복합운송트레인 블록트레인 대륙행단철도
1. 블록트레인(block train)의 definition
설명
2. 대륙횡단 블록트레인 운영 조건
5. 대한교통학회/한국철도학회, 『국제철도시대에 대비한 대응strategy 개발연구』, 2002.
(2) 운송화물 유치





(3) 컨테이너 환적용량
6. 『시베리아횡단철도(TSR)의 현재상황 및 한반도연결에 따른 파급effect』, 교통개발연구원, 2002.
1. 블록트레인(block train)의 definition
3. 『범아시아 철도망의 발전전망과 우리 나라의 활용대책 연구』, 1998.
(1) 국제협력 강화 및 제도improvement
경제시장의 글로벌화로 동북아경제권이 세계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증대하면서 세계경제에서 동북아시아의 중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 나라가 동북아경제권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기 위해서는 동북아 물류중심국가로 되어야 한다. (6) 국경통과
(5) 열차운행
결론
블록트레인(block train)이란 자체 화차와 자체 터미널을 가지고 항구의 터미널(ocean terminal)에서 내륙목적지의 터미널 혹은
(5) 국제복합운송체제 구축
(6) Transfracht
4. 블록트레인 운영조건
9. 교통개발연구원 (http://www.koti.re.kr/)
(3) 운임체계 조정
우리나라의 현실정에서의 동북아 중심물류국가로 자리잡기 위해서는 남북철도와 대륙횡단철도를 연계시켜 운행하는 전략방안(方案)을 마련해야 한다는 인식에서 비롯되었다. 이를 위해서는 보다 효율적이고 신뢰성 있는 국제운송망의 개발과 이용이 필요한 상황이다.
7. 이재욱 외, 『한.중간 열차페리사업에 관한 고찰』, 제7회 국제물류연구회 발표자료(資料), 2002.
(4) HHCE/Hansa-Hungaria-Container-Express
[reference]
서론
복합운송트레인 블록트레인 대륙행단철도 / 1. 건설교통부 외, 『러시아철도 현재상황 (TSR 實態조사결과를 중심으로)』, 2001. 6.
복합운송트레인과 우리의 대응대책
본론
8. 이호영, 『새로운 국제철도수송체계 -Block Train-』, 세미나 발표자료(資料), 2002.
4. 『남북한간 인적.물적 수송의 활성화를 위한 교통부문의 법적.제도적 정비대책』, 2001.
(2) DB Cargo
순서
(운송 물류)
(1) 열차구성
(7) 기타 운송서비스
10. 한국철도기술연구원 (http://www.krri.re.kr)
(5) MetrAns
3. 블록트레인의 운영example(사례)
(1) POLZUG GmbH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