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친족체계와 종족theory , 당내, 소문중, 파문중, 대문중, 조옥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3-07 20:41
본문
Download : 한국의 친족체계와 종족이론, 당내,.hwp
이것을 부당ㆍ모당ㆍ처당으로 표시하였을 때 친족은 부당을 의미한다. 5종법이란 1개의 대종(大宗)과 4개의 소종을 합한 것으로 4개의 소종이란 부를 중심으로한 이종(檷宗), 조를 중심한 조종(祖宗), 증조를 중심한 증조종, 그리고 고조부를 중심한 고조종을 말하며 이를 모두 합하여 5종이라 한다
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적 종족이란 어떤 것이며, 이것은 어떤 구조적 특성을 갖고 있으며, 그 체계의 배후에 숨겨져 있는 이념이 무엇인가를 보기위한 것이다. 당내를 일상용어로 흔히 ‘집안’ 이라 한다.
설명
종족이란 한국의 경우 부계친(父系親)인 친족을 말한다.
한국은 전통적으로 친족제도가 중요한 사회의 근간을 이루는 사회였고 종족이념이 문화유형의 핵심을 이루는 사회라 할 수 있다. 저자는 씨족과 종족의 定義(정의)를 별도로 하고 우리나라의 부계친족을 종족으로 규정하는 세가지 意見(의견)을 제시한다. 당내의 친족에서의 범위는 이른바 유복친(有服親)의 범위를 이룬다. 또한 인류학자들은 당내를 흔히 최소 종족(minimal lineage)이라 표시한다. 당내는 친족용어의 범위 그리고 유복친의 범위와 일치하는 이외에 양반댁에서는 당내의 종손이 족인의 혼례시 혼주가 되는 경우도 있다아
종족은 가족의 범위보다 넓은 친족집단이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적 종족이란 어떤 것이며, 이것은 어떤 구조적 property(특성)을 갖고 있으며, 그 체계의 배후에 숨겨져 있는 이념이 무엇인가를 보기위한 것이다.
Download : 한국의 친족체계와 종족이론, 당내,.hwp( 47 )





◎ 당내(黨內)
한국의 친족체계와 종족이론, 당내, 소문중, 파문중, 대문중, 조옥,친족체계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당내는 동고조 8촌의 범위를 의미한다. 친족이란 일족이당제(一族二黨制)의 친족ㆍ외척ㆍ인척에서의 친족을 말한다.
한국은 전통적으로 친족제도가 중요한 사회의 근간을 이루는 사회였고 종족이념이 문화유형의 핵심을 이루는 사회라 할 수 있다. 가족보다 넓은 종족의 범위를 어디까지 하느냐 하는 것이 문제가 된다 이것은 사회인류학에서 말하는 씨족(clean)과 종족(lineage)의 차이를 어디에 두느냐 하는 문제이기도 하다. 이것은 中國의 5종법(宗法)에 의하여 이룩된 소종(小宗)을 말한다. 그리고 가족의 범위를 넘어선 친족집단인 종족을 규모에 따라 당내(黨內), 소문중(小門中), 파문중(派門中), 대문중(大門中)으로 나누어 살펴보고자 했다. 그러기 위해서 저자는 중국 내지 일본의 것과 비교하는 방법을 선택하였다. 그러기 위해서 저자는 중국 내지 일본의 것과 비교하는 방법을 선택하였다.
순서
버나츠키는 한국의 부계친족을 전부 종족이라 한 것이고, 시마는 원시조는 씨족 그리고 그 하부의 구체적 집단을 형성하는 것을 종족이라 하였으며, 송선희는 시마보다 한 단계 아래의 파시조부터 종족이라 하였다.
한국의 친족체계와 종족theory , 당내, 소문중, 파문중, 대문중, 조옥
당내를 집단이라 하는 것은 당내를 구성하는 부계가족들이 제사를 통하여 결합되어 있기 때문이다. 저자는 종족이란 기능집단의 중요한 내용을 기록에 정체를 상세히 기록한 시조로 문중이란 조직을 갖고 제사를 거행하고 족보를 간행할 수 있는 집단이라고 할 때 시마의 견해가 가장 타당한 것이라고 생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