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 [자기인식theory(이론)] 자기인식의 발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4 16:21
본문
Download : [자기인식이론] 자기인식의 발달.hwp
개념정의,특징특성,종류유형
... 이하 내용은 본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자기인식이론] 자기인식의 발달-3422_01.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909/%5B%EC%9E%90%EA%B8%B0%EC%9D%B8%EC%8B%9D%EC%9D%B4%EB%A1%A0%5D%20%EC%9E%90%EA%B8%B0%EC%9D%B8%EC%8B%9D%EC%9D%98%20%EB%B0%9C%EB%8B%AC-3422_01.jpg)
![[자기인식이론] 자기인식의 발달-3422_02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909/%5B%EC%9E%90%EA%B8%B0%EC%9D%B8%EC%8B%9D%EC%9D%B4%EB%A1%A0%5D%20%EC%9E%90%EA%B8%B0%EC%9D%B8%EC%8B%9D%EC%9D%98%20%EB%B0%9C%EB%8B%AC-3422_02_.jpg)



Lewis와 Brooks Gunn(1979)은 9개월에서 24개월까지의 영아들을 대상으로 그 어머니로 하여금 얼굴을 닦아 주는 척하면서 주의를 끌지 않고 코에 루즈를 묻히게 한 다음 거울 앞에 세워서 그 반응을 살폈다.
[자기인식理論(이론)] 자기인식의 발달
[자기인식理論(이론)] 자기인식의 발달 핵심 내용만을 간략하게 요점/정리(整理) 하였습니다.
[자기인식theory(이론)] 자기인식의 발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그 주목은 직접 자기 내부로 향하기도 하고 또 외부주위 環境(환경)으로 향하기도 한다.
다.
자료題目 : [자기인식theory(이론)] 자기인식의 발달
data(자료)명 : [자기인식理論(이론)] 자기인식의 발달
Download : [자기인식이론] 자기인식의 발달.hwp( 84 )
설명
자기인식 理論(이론)의 핵심은 자신을 자기의 주목 대상으로 삼는다는 것이다. 자신의 내부로 향하는 것이 자기 모니터링(self monitoring)인데 이것은 자신의 사고, 감정, 동기를 자각하는 것을 말한다. 영아기 동안 자기인식의 발달을 연구하기 위해 연구자들은 거울이나 사진, 자기의 모습을 촬영한 영상 등을 보여 주고 자기를 인식하는지를 검사하는 시각적 자기인식(visual self-recognition) 방법을 이용하였다.
그런데 사회인지에서의 관심은 언제 자기인식이 생기는가 하는 것보다는 어떻게 자기인식이 이루어지는가 하는 것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자기인식theory(이론)] 자기인식의 발달
[자기인식理論(이론)] 자기인식의 발달의 주요 내용을 요약 및 정리(整理) 한 레포트 data(자료)입니다. 영아의 자기인식 발달을 살펴보면 9-10개월 된 영아는 자기(self)와 자기 아닌 것(non self)을 구별하지만(다른 영아의 영상보다 자신의 영상을 더 오래 쳐다본다) 아직 자기를 자각하지는 못 한다. 생후 24개월경이 되면 대부분의 영아는 자기를 인식할 수 있었다.
자료제목 : [자기인식이론] 자기인식의 발달 [자기인식이론] 자기인식의 발달에 대한 레포트 자료입니다.
그 결과 15개월의 영아들부터 거울보다 자기 코를 만지는 반응을 보임으로써 거울의 상이 자기를 비춘 것이라는 사실을 알고 자기 얼굴에 뭔가 묻었다는 것을 추론했다.
순서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자기인식theory(이론)] 자기인식의 발달> 작성에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9-16개월 사이에 영아는 자신의 몸 움직임에 따라 움직이는, 거울에 비친 자신의 상(image)과의 관계를 통해서 자기인식이 가능해지고, 그 다음 단계로 사진과 같은 data(자료)를 통해 정적인 지각 양상만을 보고도 자기인식을 할 수 있게 된다된다. 24개월이면 이런 자기인식이 확고해진다. <[자기인식이론] 자기인식의 발달> 작성에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Hill과 Tomlin(1981)은 이 시기가 바로 대상개념 (object concept)이 성숙되고 감각운동도식(sensori-motor schemes)을 정신적 영상으로 내면화하는 시기인 점과 다운 증후군 같은 정신 지체 아동도 정신 연령이 18-20개월 수준에 이르면 거울에 비친 자기를 알아볼 수 있다는 점에서 자기를 인식하는 능력은 인지발달수준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하였다. 자기인식은 두 단계로 발전한다.